QUICK

MENU

 Home > 발행도서 > 인문
홍익인간이 본 자연과 어우러진 삶터
조한석
동양철학
신국판/320쪽
2025년 3월 18일
979-11-6855-321-7
16,000원

■ 책을 내면서



▣ 천부경은 이렇게 전해졌다.


천부경은 환국 시대에서는 말씀으로 전해졌고, 배달국 시대에서는 신지(神誌: 직책명) 혁덕(赫德)이 녹도문(鹿圖文)으로 기록했으며, 고조선 시대에서는 신지(神誌)가 태백산(太白山)에 있는 돌[전고비(篆古碑)]에 새겼다.


오랜 세월이 흘러 신라 시대 때 최치원(崔致遠)이 전고비(篆古碑)에 새겨진 천부경을 보고, 81자 갑골문으로 완성한 후 그 내용을 묘향산 석벽에 새겨두었다. 이후 독립운동가 계연수(桂延壽)는 1911년 『환단고기』를 30부 출판한 후, 1916년 묘향산 석벽에 새겨진 천부경을 탁본하여, 1917년 서울 소재 단군교에 전달했다.


단군교에서는 윤효정(尹孝定)을 통해 북경에서 거주하고 있는 전병훈(全秉薰)에게 석벽 본 천부경을 전달했다. 전병훈은 윤효정과 함께 천부경을 해석한 후 자신의 사상을 집대성한 『정신철학통편』에 담아, 1920년에 출판하여 세상에 알렸다.


▣ 천부경에 관심 두게 된 경위는 이러하다.


항상 어깨가 무겁고 등이 구부정해지고 퇴행성관절염으로 날이 갈수록 통증이 심해져 같다. 1996년 여름 길을 걷다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서 병원으로 실려 간 적이 있다. 좋다는 약도 먹어보고 했지만, 기대치만큼 효과를 얻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시작한 것이 단전호흡 수련이었다. 차츰 몸이 유연해지고 무릎 통증도 사라지는 경험하게 되었다. 수련 과정에서 우연히 천부경을 써 보라는 권유를 받고 2000년 1월 사경을 시작하게 되었다.


천부경을 24,000번 사경(寫經)을 마친 후, 천부경을 알려야겠다는 생각에 詩 창작과정 공부를 시작하여 2007년 시인으로 등단한 후 2009년에는 시집 『순간이 행복으로』을, 2010년에는 천부경 해설 시집 『강물에 흐르는 그믐달』을, 2016년에는 천부경 해설집 『천부경, 천상의 소리』을 발간하였다.


필자는 천부경을 학술적으로 연구해야겠다는 마음으로, 학점 인정제 과정을 통해 2018년 8월 30일 행정학사 학위를 수여 받고서, 2019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에 입학하여 2023년 졸업하면서, 박사학위 논문 “천부경 사상의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필자의 삶을 되짚어 본다.


통영에서 1968년 중학교를 졸업하고 사진관에서 기술을 배우며 일을 했다. 기관 관련 기술을 배우기 위해 1973년 1월 해군 부사관으로 지원 입대했다. 당시 해군본부 정보참모부에서 사진 기술자를 선발하기 위해 훈련소에 온 간부에 의해 훈련이 끝나자 바로 해군본부로 인사명령이 났다.


1973년 3월부터 정보참모부에서 근무할 때 인사 담당 이종문 준위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었다. 1974년 보안부대로 발령되었고, 1975년 8월 ‘고졸 검정고시’를 합격하였다. 1977년 3군 보안부대를 통합하여 보안사령부가 출범하자, 이때 사령부로 발령되어 근무하게 되었다.


필자가 보좌관이 되어 모셨던 조창현 장군은 업무에 불편함이 있었음에도 개의치 않고, 1993년∼1995년 동안 명지전문대학 야간부 행정학 과정을 졸업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셨다. 이런 배려 때문에 늦은 나이에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009년 5월 31일 전역 후 전직 친목 단체에서 일하게 되었다. 이때 이덕기 연구소장의 도움으로 글쓰기에 재미를 붙이게 되었다. 그래서 심명철학(心命哲學) 원리 공부와 수필 공부를 하면서 동양철학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활용하여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 과정의 끝이 지금의 내 모습이다.


▣ 당신이 옆에 있어 행복했습니다.


전영순(全英順), 당신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내 모습이 아닐 겁니다. 내가 어려웠던 시절 늘 옆에서 지켜봐 준 당신은 즐거운 마음으로 힘든 일들을 찾아다니며 도맡아서 해냈습니다. 이런 어려운 과정을 거치며 지금도 뷰티화장품 관리본부장으로 일하고 있는 당신의 모습을 지켜보며 가슴 한편으로는 미안한 마음뿐입니다.


2025년 2월 15일
필자 松岩 趙 漢 奭



■ 본문 중에서


① 송가(頌歌)

만물의 큰 시원[大一]이 되는 지극한 생명이여!
이를 양기(良氣)라 부르나니
무와 유가 혼연일체로 존재하고
텅 빔과 꽉 참이 오묘하구나.
삼신(三神)은 일신(一神)을 본체로 삼고
일신(一神)은 삼신(三神)을 작용으로 삼으니
무와 유·텅 빔과 꽉 참이 오묘하게 하나로 순환하니
삼신의 본체와 작용은 둘이 아니로다.
우주의 큰 빔 속에 밝음이 있으니, 이것이 신의 모습이로다.
천지의 대기(大氣)는 영원하니
이것이 신의 조화로다.
참 생명이 흘러나오는 원천이고, 만법이 이곳에서 생겨나니
일월의 씨앗이며, 천신의 참 마음이로다!
만물에 광명 비추고, 생명선을 던져 주니
이 천지조화 대각하면 큰 능력 얻을 것이요
성신이 세상에 크게 내려 만백성 번영하도다.
그러므로 원(圓; ○)은 일(一)이니
하늘의 ‘무극(無極) 정신’을 뜻하고,
방(方; □)은 이(二)이니
하늘과 대비가 되는 땅의 정신을 말하고,
각(角; △)은 삼(三)이니
천지의 주인인 인간의 ‘태극(太極) 정신’이로다.
선인(仙人) 발귀리(發貴理)는 ‘하나는 셋을 그 쓰임으로 하고, 셋은 하나를 그 체로 한다.’라고 주장했고, 고려 말 충신 이암(李巖)은 단군세기 서문(序文)에서 ‘하나를 잡으면 셋을 포함하고, 셋이 모여 하나로 돌아간다.’라고 하며, 체와 용이 분리될 수 없다고 밝혔다.
발귀리가 주장한 ‘일삼기용(一三其用)’과 이암이 주장한 ‘집일함삼(執一含三)’은 ‘하나라는 본체’ 안에서 ‘세 가지로 작용’이 있음으로써, 우주 안에서 다양한 창조변화가 일어나게 됨을 밝히는 논리다. 이런 논리는 최치원이 기록한 천부경 내용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차례


책을 내면서 4


일상에서 찾는다 9




천부경의 형성과 전개 과정


1. 천부경의 형성 과정 20
1) 환국 시대: 천부(天符)의 뜻, 언설화(言說化) 20
2) 배달 시대: 천부(天符)의 뜻, 문자화(文字化) 26
3) 고조선 시대: 백성들의 삶, 지혜화(智慧化) 35

2. 천부경의 전개 과정 51
1) 신라 시대: 최치원의 석벽 본(本) 천부경 52
2) 고려 시대: 민안부(閔安富)의 소장본 천부경 56
3) 조선 시대: 고조선 역사서와 신선도 관련 기록 수거·소각 60
4) 조선 말기: 전병훈의 천부경 주해 64
5) 일제강점기: 고조선 역사서 소각과 문화 말살 정책  66
6) 해방 이후: 천부경의 ‘위서’ VS ‘진서’ 논란  73




천부경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1. 자연의 섭리에 담긴 일(一)의 철학 98
1) 일(一)의 개념 98
2) 존재의 생성과 소멸 현상  106
(1)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108
(2)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124

2. 우아일체(宇我一體) 속에 담긴 삶의 철학 139
1) 중도일심(中道一心) 142
2) 효충도(孝忠道)  152
3) 홍익인간(弘益人間) 160

3. 한민족 사상의 변천 과정 172
1) 하늘의 뜻을 실천하자는 인(仁) 사상 172
2) 올바른 삶의 가르침 팔정도(八正道) 사상 185
3) 도(道) 바탕으로 한 덕(德) 사상 199




천부경의 한글화와 활용방안


1. 한글화의 필요성 219
1) 동양 우주관에 대한 재인식 219
2) 한글세대를 위한 천부경의 한글화 234
3) 한글 천부경의 미래 가치 함양 241

2. 활용방안 263
1) 열린 마음의 완성 266
2) 문화 공동체 형성 271

3. 어울림의 한마당 277
1) 시각적으로 표현된 한글 천부경  278
2) 청각적으로 표현된 천부가(天符歌) 291
3) 풍류가 담긴 삶터 292



맺음말


▣ 어떤 삶을 선택해야 할까? 308
▣ 나를 먼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11
▣ 도움 주려는 사람이 넘쳐나는 세상을 만들자. 314


한민족의 연혁 318

송암 조한석



아름다운 삶


사랑스러운 눈빛
다정스러운 말
예절 바른 행동


그리하여
맑고 밝은 사람으로
나는
나를
창조한다.



한국문인협회 상벌제도위원회 위원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서울지부 대의원


시집
『순간이 행복으로』
 『강물에 흐르는 그믐달』


저서
 『물이 있어 바람이 일고』
 『천부경… 천상의 소리』
 『한민족의 문화 홍익인간 이야기』
 『홍익인간이 본 자연과 어우러진 삶터』


박사논문
〈천부경 사상의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출간문의 찾아오시는 길 사이트맵